이 글의 목차
1. 대상 서비스 및 서비스 목적
1) 대상 서비스
•
페이플 허브
2) 서비스 목적
•
플랫폼 및 중개 비즈니스 사업자가 하위 셀러에게 쉽고 간편하게 지급이체할 수 있도록 함
2. 프로젝트 개요
1 ) 프로젝트 개요
•
목적
◦
허브 서비스 이용 파트너의 지급이체 실패 감소
•
목표
◦
계좌 자체가 사용불가(사용불가 빌링키)해진 경우 실명인증이 다시 가능하도록 서비스 로직 변경
▪
사용불가한 계좌 예시 : 예금주명 불일치(개명 등), 사건신고 계좌, 거래중지 계좌, 해약계좌 등
◦
사용불가 빌링키인 경우 파트너사가 해당 사유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기능들추가
•
기대효과
◦
사용불가 빌링키로 인한 지급이체 실패율 20%▼
3. 프로젝트 인풋 및 기간
•
인력투입 및 등급
업무 구분 | 등급 | 소요일수 | 담당 여부(기여도) |
기획 | 주니어 | 2일 | O (100%) |
개발 | 주니어 | 6일 | |
QA | 주니어 | 2일 | O (100%) |
4. 결과
•
사용불가한 계좌로 인한 지급이체 실패 감소 (2022.10.20 적용)
◦
총 실패 건 대비 사용불가 빌링키로 인한 실패 비율 31% ▼
사용불가 빌링키로 인한 실패 건 수 전월 대비 70%▼
총 지급이체
실행 건 수 | 총 지급이체
실패 건 수 | 총 지급이체
실패 비율 | 사용불가 빌링키로 인한
실패 건 수 | 총 실패 건 대비
사용불가 빌링키로 인한 실패 비율 | |
9월 | 62,039 | 237 | 0.38% | 183 | 77% |
10월 | 64,647 | 307 | 0.47% | 224 | 73% |
11월 | 65,929 | 204 | 0.31% | 66 | 32% |
5. 회고
•
API만 제공하므로 사용불가 빌링키라는 실패 사유를 안내하는 것에서 종료할 수 밖에 없었음
•
허브 페이즈2 오픈 시에 API외에 추가 기능이 붙은 웹페이지도 제공한다면
사용불가한 빌링키일 경우 해당 사실 안내 및 실명인증 재진행 → 지급이체 실행까지 진행하겠냐는 팝업창 추가
→ 지급이체 실패율 더욱 감소할 것으로 예상